in vitro 2

in vivo 실험 없이도 특허 출원이 가능할까?

나는 연구자들의 목표이자 연구의 꽃은 저널/학회지/논문 발표라고 생각한다.연구자들이 연구내용을 제출하고(submission), 에디터들의 합격통지(accept)를 받기 위해서는 마우스 실험, 즉 생체내(in vivo) 실험이 거의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그런지, 특허 출원을 위한 발명자 상담에서 종종 in vivo 실험 없이도 특허 출원이 가능한가요? 라는 질문을 받곤한다. 처음엔 당연히 in vivo 실험이 필요한 것 아닌가?라고 생각했지만 앞선 글에서 언급했듯이 논문과 특허는 매우 다른 성격을 띄고 있으며(특허청 심사관은 저널 에디터가 아님!!) 실제로 심사실무 가이드에서는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약리효과는 '원칙적으로' 임상시험에 의해서 뒷받침되어야 하나 발명의 내용에 따라서는 임..

카테고리 없음 2024.10.06

연구자들이 가지는 특허에 대한 일반적인 궁금증

Q. 이 연구 내용도 특허가 될 수 있나요? (특허 대상성) Q.  어떤 특허가 좋은 특허인가요? (좋은 특허의 의미) Q. 이 연구 내용이 특허성이 있나요? (특허 출원가부/ 특허 등록가능성) Q. 특허를 내기 위해서는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가요? Q. in vivo* 실험이 없어도 특허가 되나요?  * ''in vivo=생체 내'라는 의미로, 보통 동물 또는 임상 시험에서 후보약물을 투여하는 실험을 포괄한다. 반대로 세포 등으로 생체 외 또는 시험관에서 실험하는 경우는 in vitro라고 한다.  이러한 궁금증들에서 시작한 이 블로그는 대외적으로는 열일하는 연구원 분들 및 제약업계에서 다양한 특허적 문제를 접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시작하였으며, 제 개인적으로는 특허업계에서 제약 및 바이오가 참 어..

카테고리 없음 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