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특허 2

좋은 특허/ 강한 특허의 의미

우선 출원을 하는 주체는 '권리범위'의 의미는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좋은 권리범위의 특허를 받을 수 있는가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 아무리 좋은 발명이라도 권리범위가 협소하면 제대로 보호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다기재 협범위 원칙: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요소가 많으면, 그만큼 권리범위가 좁아진다.   예시. 의자 1 = 시트(A) + 등받이(B) + 의자다리(C)           의자 2 = 시트(A) + 등받이(B) + 나일론 의자다리(C1)           이동가능한 의자 3= 시트(A) + 등받이(B) + 나일론 의자다리(C1) + 바퀴(D)           → 광범위한 권리범위: 의자 3               (상위개념의 표현을 기재할 수록 권리범위가 넓어짐)  구성요소 완비의 원칙..

카테고리 없음 2024.09.29

연구자들이 가지는 특허에 대한 일반적인 궁금증

Q. 이 연구 내용도 특허가 될 수 있나요? (특허 대상성) Q.  어떤 특허가 좋은 특허인가요? (좋은 특허의 의미) Q. 이 연구 내용이 특허성이 있나요? (특허 출원가부/ 특허 등록가능성) Q. 특허를 내기 위해서는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가요? Q. in vivo* 실험이 없어도 특허가 되나요?  * ''in vivo=생체 내'라는 의미로, 보통 동물 또는 임상 시험에서 후보약물을 투여하는 실험을 포괄한다. 반대로 세포 등으로 생체 외 또는 시험관에서 실험하는 경우는 in vitro라고 한다.  이러한 궁금증들에서 시작한 이 블로그는 대외적으로는 열일하는 연구원 분들 및 제약업계에서 다양한 특허적 문제를 접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시작하였으며, 제 개인적으로는 특허업계에서 제약 및 바이오가 참 어..

카테고리 없음 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