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one-sided-love 님의 블로그

  • 홈
  • 태그
  • 방명록

특허 어려움 1

작용기전 발견한 경우라도, 특허 출원이 가능한 경우는?

이전 글에서 '작용기전' 규명은 자연법칙을 발견한 것에 불과하므로, '작용기전'은 의약용도 특허의 구성요소로 인정받기 어렵다는 내용을 설명하였다.  다만, 작용기전을 발견한 경우라도 이러한 내용이 추가적으로 연구된다면, 특허 출원 시도가 가능하다. 새로 규명한 기전에 포함되는 다양한 signaling molecule 등을 억제하여 해당 신호전달 체계가 억제되거나 또는 활성화됨에 따라 특정 질환이 치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이에 대해 청구범위에 기재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의약용도 특허의 구성요소는 물질+용도(적응증)이므로,  i) 물질: 신호전달체계를 조절하는 물질ii) 용도: 특정 적응증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구성요소로 특허를 구성할 수 있다. (이미지 출처: Drug Des Devel Th..

카테고리 없음 2024.09.22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bio-one-sided-love 님의 블로그

바이오를 좋아했지만, 나만 좋아한다는 것을 깨닫고는 특허로 넘어왔는데 특허에서도 바이오는 여전히 어렵구나 하고 깨닫고 있는 나님의 블로그 입니다.

  • 분류 전체보기 (32)
    • 판례 (0)
    • 각국 특허제도 및 판례 (0)
      • 미국 (0)

Tag

특허는 어려워, in vitro, mechanism, 바이오, 진보성, 균등침해, written description, 타일로신 판례, 특허, 현저한 효과, 특허 무효, 2018후10923, enablement, 미국 특허제로, 의식적 제외, 결정형 발명, 구성의 곤란성, 좋은 특허, Pathway, 특허의 목적,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공지사항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alendar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